・Organic Light Emitting Diode: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소자에 직접 전압을 걸어서 발광시킴. 그 덕에 형광등이나 LED등의 광원(Back light)이 필요없게 되어 슬림화를 실현하였습니다. 스마트 폰에서는 OLED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 전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란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칭으로 액정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인 물질의 상태를 말합니다. 2장의 글래스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두고 그 성질을 이용해서 빛을 제어하여 영상을 비춥니다. 액정 물질은 자체 발광하지 않기에, 형광등이나 LED등의 광원(Back light)에 의하여 나오는 빛을 제어하는 것으로 영상을 비춥니다. 스마트폰 페이지는 이쪽TV・PC 페이지는 이쪽
LCD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경량, 슬림화입니다. 또 OLED소자 자체가 발광하는 것으로 선명한 Black 표현이 가능합니다. 뛰어난 유연성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 특징은 접이식 폴더블 스마트폰이나 상업용 디지털 사이니지 용도로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등, 유연 설계를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습니다.
OLED의 과제는?
장점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특징을 가지는 OLED지만 아직 그 장점을 모두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소비전력은 이론적으로 LCD보다 낮출수 있다고 하지만 현재 OLED는 아직 달성 하고 있지 못합니다. 또한 LCD보다 구조는 심플하지만 제조 프로세스가 복잡해서 공정이나 코스트 절감을 다양한 재료로 해결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폴더블 스마트폰의 과제
최대 특징은 접을 수 있는 것이지만 열고 닫음으로 인해 소재에 따라서는 깨지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주름 개선, 깨짐 방지등 과제를 해결하여 더욱 고품질의 폴더블 스마트폰의 개발이 현재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문제 해결에 대처하는 세키스이 화학의 제품 특징
뛰어난 기능성
내투습 내반발성 내구성
방수성 방진성 유연성
내열성 내충격성 고절연성
고투명 저투습 저유전
고성능 프로세스
B stage화 습기경화 UV 경화
커스터마이징 공정삭감 성형기술
OLED의 구조
OLED의 컬러화 방식
RGB방식
R, G, B 각각이 독립적으로 발광해, 1 화소가 됩니다.빛을 차단하는 필터가 없기 때문에 높은 발광 효율 및 고휘도 실현이 가능합니다.
컬러 필터 방식
흰색에 발광하는 OLED 소자와 R, G, B의 컬러 필터를 조합하여색을 표현. LCD와 비교하면 black 표현성, 명암비도 높지만, RGB 방식 대비 휘도와 발광 효율이 낮고 소비 전력은 높아집니다.
OLED의 광 추출 방식
Top Emission 방식
TFT 기판이 없는 위쪽으로 빛을 투과시킴.
TFT에 의해 빛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개구율을 실현. 정밀하고 밝음
저소비전력
개발 난이도가 높음
Bottom Emission 방식
TFT 기판이 있는 아래쪽으로 빛을 투과시킴.
컬러 필터가 TFT 등의 회로에 가려져 개구율이 낮고 어두워진다.
휘도를 올리는 데에 높은 소비전력이 요구됨.
개발은 쉽고 제조하기 쉽습니다.
OLED에서는 광 추출 방법으로 Top Emission 방식과 Bottom Emission 방식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과제는 있지만, 최신 기술로서 휘도와 정밀도가 높은 Top Emission 방식을 채용하는 메이커가 증가하고 있음.
OLED 모델
Rigid OLED
Glass기판을 사용하고 그 위에 TFT회로, OLED층을 형성하며 진공 증착법에 의해 제조됨. 광학식 지문 센서 탑재가 가능.안정된 생산으로 낮은 생산 코스트가 장점.
플렉서블 OLED
플라스틱 기판 등 유연성을 갖는 기판 상에 PI(폴리이미드) 도포. 그 위에 TFT회로, OLED층을 형성, 마지막으로 PI막을 박리하는 방식으로, 플렉서블기판이 됩니다. 유연성이 뛰어나고, Folding이 가능하며, 박형화 및 경량화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한 공기층이 없기 때문에 광학식 이외에도 초음파식 지문 센서를 탑재할 수 있습니다.
플렉서블 OLED의 기술 과제
OLED는 수분에 약함
OLED는 수분에 취약하므로 소자 자체를 수증기로부터 보호(봉지)해야 합니다.수명 연장 대책 면에서도 봉지 프로세스는 중요합니다.
OLED TV의 큰 특징은 하나하나의 소자가 자발광하기 때문에 액정 TV와 같은 백라이트나 액정층이 불필요해집니다. 이를 통해 슬림화, 경량화가 가능해졌습니다. TV의 대형화도 진행되고 있지만, 각종 방식으로 메리트도 있다면 코스트면이나 콘트라스트, 제조 프로세스가 복잡해지는 등의 과제도 있습니다.
LCD TV
OLED TV
디지털 사이니지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경량, 박형, 유연성의 특징을 살린 곡면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해, 업무용 디지털 사이니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장소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시설에 설치할 수 있어 표현성이 넓어집니다.
세키스이 화학 Electronics 관련 제품 디스플레이 프레임 주변 등 외장 재료도 라인업 보유
백라이트에 매우 작은 LED 칩을 깔아놓은 액정 디스플레이.백라이트 분할로 일반 액정패널(LCD)의 약점이었던 빛 샘 현상을 제어하여 휘도와 콘트라스트비가 향상, black 재현이 가능해졌습니다. 소형/대형 TV뿐만 아니라 태블릿 등 중소형 디바이스에서도 채용 되었습니다.
microOLED
스마트 글래스, 소형 카메라 뷰파인더, 프로젝터 등 소형 디바이스용으로
OLED의 소형화.유리기판이 아닌 실리콘 웨이퍼 상에 OLED 발광층을 형성합니다. 화소 사이즈는 약 10㎛ 이하로, OLED의 특징을 가지면서 소형 사이즈에서의 고해상도를 실현. 고정밀, 고속 응답 등의 특징을 가진 최신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microLED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서의 실용화 기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가 1화소 1방식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LED 하나 하나가 화소로 발광하기 때문에 색 재현성이 높고 응답속도는 OLED 동등, LCD 대비 100배나 됨. OLED의 과제인 단수명 특성이나 번인 현상 등의 문제가 없고, 곡면 디스플레이도 가능. 현재는 과제도 많고, 초소형 LED 칩을 기판에 실장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나 수율 개선이 요구됩니다. 또한, μLED는 화소수에 따른 LED의 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비싸다는 과제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