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
- 일렉트로닉스


발열부분・복잡한 형상에 접착
차량 전자기기 및 그 정보처리능력이 진화되면서 차량에 탑재하는 디스플레이의 기능과 역할도 진화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입니다. 전면유리 등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나 경로・주의 환기 정보를 운전하는 자세에서 시선을 크게 이동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운전 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때문에 디스플레이나 프로젝터 자체도 고정밀도와 높은 신뢰성・내구성이 요구됩니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가 발달하면서 중앙정보표시장치(CID)에는 지금까지의 내비게이션 기능과 에어컨 조작뿐만 아니라 엔터테이먼트 정보 등도 포함하게 되어 디자인성의 진화와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반면 부재고정 측면에서는 발열하는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내열성, 복잡한 형상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는 점착력이 요구됩니다.

내열성과 유연성을 양립하는 양면테이프
‘#5200시리즈’는 내열 폴리올레핀폼 기재를 사용하여 내열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양면 테이프입니다.
유연한 기재와 강한 점착력으로 뛰어난 곡면 추종성을 발휘하며, 쿠션기능을 통해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전자기기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높여줍니다.

기술정보

기술개요
125℃ 내열
내열/저수축성
내열 폴리올레핀수지의 폼기재를사용하여 125℃까지의 내열성(수축률 3%이하) 달성

강점착
점착제 배합기술
아크릴계 점착제의 배합기술을 구사한독자적인 배합을 통해 높은 점착력을 발휘

곡면 추종/span>
유연성과 점착제 기술
유연한 기재와 독자적 배합의 점착 재료를 사용해뛰어난 곡면 추종성을 구현

높은 유연성
유연성을 겸비한 고강도 폼 기재
유연하며 고강도의 특수 폴리올레핀수지를기재에 사용하여 높은 유연성을 부여

기술상세
125℃ 내열125℃에서 변형량이 3% 이하로 유지되어, 피착체가 기울거나 밀림을 방지


강점착
180도 Peel-off Test 

곡면 추종
곡면의 피착체에 부착하여도 떨어지거나 밀림 미발생


높은 유연성
압축률별 압축강도(압축곡선) 


특징
- 높은 충격 흡수성을 보유, 낙하 시의 박리와 파손을 억제합니다.
- 단차 추종성이 뛰어나 높은 방수, 방진 성능을 발휘합니다.
- 내반발성이 우수하여 곡면 접착 시에도 높은 접착 신뢰성을 가집니다.
- 폭넓은 두께 라인업을 통하여 다양한 설계, 니즈에 대응 가능합니다.
용도

1커버 패널, 프레임 접착
2TSP, LCM(OLED) 접착
3LCM 쿠션재 등
라인업
품번 | 특성 | 두께(μm) | ||||||||
---|---|---|---|---|---|---|---|---|---|---|
100 | 150 | 200 | 250 | 300 | 400 | 600 | 900 | 1100 | ||
5200NSB | 표준 | 5220NSB | 5230NSB | 5240NSB | 5260NSB | 5290NSB | 52110NSB | |||
5200PSB | 강점착력 | 5215PSB | 5220PSB | 5225PSB | 5230PSB | |||||
5200NAB | 충격 흡수성 | 5210NAB | 5215NAB | 5220NAB | 5225NAB | |||||
5200PCB | 고충격 흡수성 | 5215PCB | 5220PCB | 5225PCB | 5230PCB | |||||
5200PFB | 초고충격 흡수성 | 5225PFB | 5230PFB |
기타
충격 시험 【낙하 충격에 대한 내성 평가】
낙하 충격에 따른 박리 발생 정도에 대한 평가


1테이프 타발(3inch, 2mm폭과 1mm폭), 구멍이 있는 PC판에 테이프를 부착.테이프 위에 PC판을 올려 5kg, 10sec 동안 압착
2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추를 떨어트려 PC판이 박리된 시점의 높이를 측정
점착력 시험 【PUSH 점착력】
프레임에 타발하여 보다 실사용에 가까운 형태로 점착력 평가


1구멍이 있는 PC판에 그림과 같이 평가 테이프를 부착
2테이프 위에 각종 피착체를 올려 5kg, 10sec 동안 압착
3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그림과 같이 PC판에 있는 구멍으로 하중을 가함피착체가 떨어졌을 때의 하중을 비교함